- 목차 (Content)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하신다면 이제 티스토리를 기반으로 운영하고 계실텐데요.
이제 그리고 티스토리에 일반적으로 애드센스를 추가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그럼 오늘은 이 애드센스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드센스란?
구글에서 운영하는 광고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소유자는 애드센스에 가입함으로써 광고 수익을 구글과 나눌 수 있습니다.
이 때 광고 수익은 사용자가 애드센스 광고를 클릭함으로써 광고 게시자는 구글에 광고비를 지급하고,
구글은 그렇게 적립된 광고비를 웹사이트 제작자와 나누어 갖는 구조입니다.
즉, 광고를 하고자하는 회사에서 구글 애즈를 통해서 광고를 요청하면
구글은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서 알맞은 홈페이지에 광고를 노출하고 그 비용을 홈페이지 소유자와 나누게 됩니다.
이러한 광고 플랫폼은 구글의 애드센스, 네이버의 애드포스트, 카카오 애드핏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수익이 높은 것은 구글의 애드센스로 알려져 있고, 많은 사용자들이 애드센스를 사용합니다.
애드센스 주제
애드센스 홈페이지에 가시면 지역별/주제별로 기본 단가를 알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는 수익이 클릭기반으로 동작하게 되고, 이때 사이트에서 주로 운영하는 주제에 따라서 광고 수익이 결정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익형 블로그를 운영하신다면 이 주제를 잘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애드센스에 따르면, 금융/부동산 등의 주제가 많은 수익이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동산 주제로 아시아에서 포스팅할때, 월 5만명 정도가 방문한다면 연간 1만달러(한화 1400만원) 정도의
수익이 나온다고 합니다.
이렇듯 애드센스를 잘 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제를 잘 정해야 합니다.
애드센스 용어 정리
애드센스의 메인페이지에 가면 다양한 용어를 만나게 됩니다.
먼저 페이지뷰는 말 그대로 웹사이트(페이지)를 방문한 숫자입니다.
RPM(Revenue Per thousand iMpressions)은 페이지 천번 방문당 예상 수익입니다.
노출수는 애드센스스 광고가 얼마나 노출되는지를 나타냅니다. 페이지당 광고가 4개 정도라면
페이지뷰 * 4가 노출수가 됩니다.
클릭수는 사이트에서 클릭한 숫자를 말하구요.
CPC는 Cost per Click으로 한번 클리당 발생하는 금액입니다.
이 CPC가 높아야 높은 광고 수익을 낼 수 있겠죠.
그리고 마지막 CTR은 Click to Rate로 광고를 누를 확률 입니다.
즉 CPC가 1달러고 페이지뷰가 1000인 상황에 CTR이 1%라고 하면
1000번의 페이지 중 1%인 10명 정도가 클릭을 하게 되고,
이때 1클릭당 1달러를 벌수 있으니, 약 10달러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10달러가 RPM이 됩니다.
그럼 애드센스와 친해지시고 수익형 블로그를 잘 운영하시기 바랍니다.
'Adsen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애드센스 구글 블로거와 2달 운영비교 (0) | 2022.11.18 |
---|---|
애드고시 실패 사례 - 광고 게제가 준비되지 않은 사이트 (1) | 2022.11.17 |
티스토리 다음 최적화 확인하는 방법 (0) | 2022.11.07 |
N잡러 시대에서 애드센스 수익은? (0) | 2022.11.06 |
애드센스 오류 - 지급에 보류가 걸려 있습니다 해결방법 (0) | 2022.11.03 |